Shinmok News

신목소식

신목종합사회복지관의 최신 소식과 공지를 확인하세요.

게시판

[양천외국인근로자센터]

서울시, 다문화가족 ․ 일반학부모 함께하는 커뮤니티 지원 확대

- 다문화가족과 일반학부모 함께하는 ‘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’ 지원 확대

- 올해 4월부터 8월까지 약 5개월 동안 70개 단체(490명) 지원

- 월 2회 이상 모임 통해 학교생활 정보공유․문화교류․자녀 체험학습 활동

- 각 커뮤니티별 구성인원에 따라 3개월 간 총 9만원(1인당 월3만원) 지원

-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활동 시작…총64개(393명) 단체 지원

- 市, “다문화가족이 지역사회에서 더욱 활발히 활동할 수 있는 기회 제공”


□ 서울시는 다문화가족과 일반 학부모가 함께하는「다(多)행복 학부모

커뮤니티」지원을 올해 확대 추진한다.


□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활동을 시작한「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」는 학교교육을 포함한 자녀교육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학부모를 위해 일반학부모와 함께하는 커뮤니티 활동을 통해 서로 자녀교육 정보를 제공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고자 마련되었다.

○ 서울에는 약 5만 명(전국의 약 22%)의 결혼이민여성이 거주하고 있으며 다문화자녀 역시 매년 증가 추세이다.

○ 특히 다문화자녀의 성장에 따라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다문화자녀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부족한 학교교육정보에 대한 제공이 시급히 필요한 상황이다.



□ 올해 ‘다행복 학부모커뮤니티’는 4월부터 8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실시되며, 기존 64개 단체를 70개 단체로 확대하고 커뮤니티별 5~10명(평균7명) 구성으로 참여인원도 393명에서 490명으로 추가 모집할 예정이다.



□ 각 커뮤니티는 월 2회 이상 정기모임 및 수시모임을 실시하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, 학교, 카페 등 장소에 제한없이 학교생활 정보 공유 및 상호간 문화교류․자녀 체험학습 활동을 하게 된다. 서울시는 각 커뮤니티별로 구성인원에 따라 3개월 간, 1인당 월3만원 총 9만원의 활동비를 지원한다.



□ 4월부터 실시되는 상반기 올해 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에 참여․활동을 원하는 일반학부모 및 다문화학부모는 초등학생 자녀가 재학하는 학교, 또는 거주지역의 자치구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(첨부 참조)로 문의하면 된다.





<지난해 총64개(393명) 다행복 학부모커뮤니티 지원>

□ 한편 서울시는 지난해 초등학교별 소규모로「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」를 구성하여 활동비를 지원하였으며,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간 총64개(393명) 단체 활동을 지원하였다.


□ 예를 들어 동대문구에는 페가소스(종암초), 우리모두코이라(신답초), 청량맘(청량초)의 3개 학부모커뮤니티가 있는데, 자녀교육 서적 공유 및 인성교육 등 자녀교육 정보교환 활동과 더불어 ‘자녀들간 친구맺기’를 통해 아이들끼리도 서로 돈독한 관계를 형성하는 성과를 거뒀다.

○ 응웬씨(베트남, 39세)는 “아이가 혼자 크다보니 친구 사귀는데 서툴고 또래 친구와의 관계를 어떻게 해줘야할지 잘 몰랐었는데 학부모커뮤니티가 큰 도움이 돼 한국 엄마들이 전해주는 학교정보를 통하여 아이들의 학교생활에 도움을 받았다.”고 전했다.

○ 일반학부모인 조모씨(한국, 49세)도 “다문화이주여성이 아닌 여느 엄마들처럼 잔소리하고 자녀학업을 걱정하고 미래를 준비하는 보통의 한국 엄마로 만날 수 있어서 뜻 깊었다.”고 말했다.



□ 또한 구로구에 있는 개웅꿈나무(개웅초), 구로남 다(多)행복(구로남초), 천왕 다(多)행복(천왕초), 천일회(천일초)의 4개 커뮤니티에서도 요리배우기, 등산하기, 문화 및 공연관람 등 다양한 학부모커뮤니티 활동을 실시하였다.

○ 구로구 개웅꿈나무(개웅초)에서 활동 중인 한 다문화학부모는 “한국에서 거주한 지 꽤 오래되었지만 외동아이를 키우며 어려운 점이 많았는데 학부모커뮤니티라는 좋은 기회가 생겨 아이들 양육과 학습지도에 대한 조언도 얻을 수 있었다.”고 밝혔다.

○ 일반학부모 역시 “다문화 아이들이 거칠고 사납다고 해서 걱정을 많이 했는데 함께 활동하다보니까 우리 아이들과 다르지 않았다”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이 크게 바뀌는 것을 느꼈다고 밝혔다.



□ 이 외에도 각 학교별 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 활동을 통해서 상호간 문화소개 및 교류, 영화 및 문화공연 관람, 체험활동 등 일반학부모와 다문화학부모간 정서적 교류 및 유대감을 형성하여 자녀교육 및 학교교육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였다.



□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“다행복 학부모커뮤니티는 다문화학부모에게는 자녀교육 및 학교생활에 대한 실제적 도움을, 일반학부모에게는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 전환과 다양한 국가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됐다.” 며, “앞으로도 일반시민과 다문화가족이 함께 교류 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고, 다문화가족이 더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”이라고 말했다.



※ 첨부 1. ‘13년 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 추진계획

2. ‘12년 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 현황

3. 각 자치구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현황

4. 커뮤니티 활동사진(동대문·구로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

<첨부 1> - ‘13년 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 추진계획

‘13년 다(多)행복 학부모커뮤니티 추진계획

사업개요

대 상 : 일반 및 다문화가족 초등학생 학부모 70개 커뮤니티 / 490명

※ 커뮤니티별 5 ~ 10명 내외로 구성(평균 7명)

기 간 : ‘13. 4. ~ ’13. 8월(상반기) / ‘13. 9. ~ ’14. 2월(하반기)

지원내용 : 활동장소, 활동비(다과비, 문화체험 및 공연비 등) 등

추진방법 : 자치구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(23개소) 연계 추진


① 추진계획 수립 및 사업비 교부(서울시→자치구) - ② 커뮤니티 구성(자치구·다문화가족지원센터) -

③ 사업계획서 제출(다문화가족지원센터→자치구) - ④ 사업확정 및 사업비 교부 (자치구→다문화가족지원센터) - ⑤ 커뮤니티 활동비 지원 등 관리(다문화가족지원센터→커뮤니티) - ⑥ 최종정산(다문화가족지원센터→자치구→서울시)



커뮤니티 구성·선정 : 학교별 다문화 및 일반학부모로 구성(5~10명 내외)

주 관 : 자치구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

방 법 : ‘12년도 구성·활동중인 커뮤니티에 대하여 회원 보완 및 재정비, 신규 구성후, 우선 지원 대상으로 선정



커뮤니티 상반기 활동

모임개최 : 정기(월 2회이상), 수시(제한 없음)

활동기간 : ‘13. 4월 ~ ’13. 8월(방학기간 포함 5개월)

모임장소 : 다문화가족지원센터, 학교, 카페 등 장소제한 없음

활동내용 : 자녀 교육정보 교환 및 정서적 유대감 형성 활동 등

(예 : 학교생활 정보 공유, 교육 및 양육정보 교환, 문화활동 등)

모 임 장 : 모임 장소 및 활동 사전계획 및 준비, 회원 모임 안내 및 독려, 활동일지 작성, 활동비 집행 및 정산 등



활동비 지원

지급기준 : 1인 3개월 9만원/ 월 3만원